top of page
Evocation, 65 x 95 cm, 2018.jpg

ARTIST

​SUNG MIN KIM

EXHIBITION TITLE
사랑 Love

DATE

2018. 09. 05 - 2018. 11. 17

OPENING RECEPTION

​2018. 09. 07(Fri)  5:00pm - 7:00pm

후원 / (주) 아이얌

관람시간 / 11:30am~07:00pm

예술가의 작업들은 어찌 되었건 우리 인간의 반영이다. 그러나 어떤 거울로 어떤 것들을 비추는 가는 예술가의 성향, 의지, 가치관에 따라 많이 다르다. 어떤 이는 피폐하고 조각난 우리의 일상적 현상적 모습을 비추고자 하고, 어떤 이는 우리가 꾸는 꿈을, 어떤 이는 우리의 잠재된 무의식을, 또 다른 이는 초월적인 이상을 바라보며 작업을 해 나간다. 무엇이 진정한 우리의 모습인가를 두고 서로 비판하고 다툴 필요는 없다.

이번 전시에서 선보이는 작업들은 우리의 파편화된 모습 속에, 꿈을 꾸는 중에 그리고 무의식 중에, 초월적인 것을 갈구하는 중에 항상 살아있는 사랑의 요소를 비추어 보고 싶었다. 얼마 전까지만 해도 '생명'이란 주제에 몰두했었다. 그리고 생명력의 원리로서의 '영원한 여성성 (The Eternal Feminine)'을 탐구했다. 무엇이 대상의 생명력을 결정짓는가, 그리고 무엇이 그림을 살아있게 만드는가 하는 문제에 부딪혔을 때, 그것은 '대상과 내가 얼마만큼 연결되어 있는가'하는 인식의 문제이기도 하다는 것을 보게 되었다. 사랑이다. 대상에의 사랑이 대상과 나를 살아있게 만드는 것이다.

Works of art exist as reflections of the self. What is reflected in works of art varies depending on the inclination, will and value system of the artist. Some artists desire to mirror the reality of our fragmentary, phenomenal life. Others try to project their dreams or deep consciousness onto the canvas. For certain artists, transcendental experiences become sources of inspiration to display on canvas. Wahtever the artist's circumstances may be, their works will truthfully mirror the self.

The paintings presented in this exhibition come from my desire to unveil the element of love. It is an element hidden in every dimension of our life. When we are confronted by the capricious faces of life, when we dream, when we delve into the deep consciousness of the inner self, when we thirst after the transcendental these are all situations in which we search for love.

In recent years, my works have been devoted to the theme of 'Life's vitality', with a focus on the theme of "Spring of Life" in its femininity. While pursuing this theme, certain questions came across my mind : What decides the life force of an object? What gives a painted object vitality? I approached these questions from an epistemological point of view, concluding that how much we relate to a particular object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object is given life. When we care for the other, be it something or someone, and ultimately familiarize ourselves with the other, we are compelled to live together with the other in joy. It is our love that energizes us and the other, granting vitality to both.

The Child in me, 65 x 95 cm, 2018.jpg

[The Child in me / 60 x 95 cm / Chinese ink and Pigments on Mulberry Paper / 2018]

Butterflies and a Waterfall-Day, 60 x 12

[Butterflies and a Waterfall-Day / 60 x 125 cm / Chinese ink and Pigments on Mulberry Paper / 2018]

Butterflies and a Waterfall-Night, 60 x

[Butterflies and a Waterfall-Night / 60 x 125 cm / Chinese ink and Pigments Mulberry Paper / 2018]

2016년 오스트리아 포르아를베르그 (Vorarlberg)에 위치한 성 아르보가스트 (St. Arbogast)란 문화교육기관에서 전시를 하게 되었다. 그곳에서 전시를 한 덕분으로, '유토피아의 날 이상적 미래를 위한 페스티벌 (Tage der Utopie Festival fur eine gute Zukunft)'이란 프로그램을 알게 되었다. St. Arbogast는 2003년 이래도 2년에 한 번 한주에 걸쳐 진행되는 이 프로그램을 기획한다. 인간의 현실적인 삶 전반,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예술 등에 걸쳐, 현재의 문제점들을 지적하고 그것들의 대안책을 제시하는 것을 내용으로 한다. 유토피아, 이상적인 미래는 이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참여하는 사람들에게는 단지 꿈이 아니라 현실인 것이었다. 유토피아는 어디에 있는 것이 아니라 우리가 설계해 나가야하는 것. 이상적 미래를 설계하기 위해 모인 사람들에게서, 그들을 바라보고 있는 유토피아를 현실적인 것이라고 보게 되었고, 그들의 '이상적 미래'란 대상에 대한 사랑을 느끼게 되었다. 그 대상에의 사랑으로 함께 모인 사람들, 그 사람들의 호흡을 느끼고는 무엇인가 멍한 기분이 들었다. 동시에 길을 잃은 것만 같았다. 내 그림에 대해 다시 생각해봐야했다. 처음 그림을 배우고 내 그림이란 것을 시작했을 때는 어떤 대상에 대한 사랑으로 가슴 설레며 그것을 그렸던 것 같다. 그런데 어느 사이 그림을 그리는 데 있어서 다른 것이 더 중요해졌던 것 같다. 마치 산이 좋아 산 길에 들어 섰는데, 산이란 대상에 대해 사랑하는 감정은 되새기지 못하고 길 찾기에만 급급했던 것처럼...

In 2016 I held a solo exhibition in St. Arbogast, a centre for education and culture located in the region of Vararlberg in Austria. Every two years since 2003, St. Arbogast organizes a one-week program called 'Days of Utopia Festival for a good Future (Tage der Utopie Festival fur eine gute Zukunft)'. Critical questions, in addition to alternatives solutions, concerning the present sitation are raised during the program in the field of politics, economics, social systems, culture and arts, etc. For the people who organize and take part in this program, the idea of 'Utopia' is not a mere dream, but a concrete reality. It is not thought to be a world that simply exists in a far-off place, but a reality that must be shaped and built. Radiating from these people who gathered to actualize their ideal future, I could perceive 'Utopia' as a living entity and feel their love for the object 'Utopia'. The breath of these people in love seemed to whisper to me, "You have to think about your painting, once more". When I first started painting, I was able to fall in love with whatever object I painted. However as time went on, the processes of painting and analyzing the object became more of a struggle to understand. Using a simile, it is similar to how my love for mountains encouraged me to trek them, but I had become so absorbed with searching for the right trails that I had forgotten to appreciate the mountains I had loved so dear.

Two friends, 60 x 145 cm, 2018.jpg

[Two Friends / 60 x 145 cm / Chinese ink and Pigments on Mulberry Paper / 2018]

결국엔 다시  돌아왔다: 물아일체 (物我一體). 대상과 내가 하나가 되는 것. 동양예술의 이상이자 최고의 경지라고 여겨지는 것은 나와 대상이 하나가 되는 것이다. 동양화를 처음 배울때부터 익숙하게 들어왔던 그 개념에 다시 도착하게 되었을 때 "아하!" 라는 탄성이 나왔다. 하지만 전에는 무엇이 나를 대상과 하나가 되게 하는지 미처 묻지 않았었다. 그것은 사랑이다.

Finally I returned to the prime teaching of the Far Eastern arts that I studied in beginning art classes and onwards, that is, the singularity of the subject and the object. In the Far East, the concept of becoming one with the object of painting is regarded as both the highest state of mind, and the goal of the arts. Although I had no problem understanding this abstract concept, I was unable to apply this understanding, unable to connect with my own paintings. However, while engrossed in this question about love for pained objects, I finally saw the connection between the concept and my paintings. What leads the subject to become one with the object? Love. Without love, the painter cannot be one with the object to be painted.

Home, 95 x 65 cm, 2018.jpg

[Home / 95 x 65 cm / Chinese ink and Pigments on Mulberry Paper / 2018]

By the Side of Water, 95 x 65 cm, 2018.j

[By the Side of Water / 95 x 65 cm / Chinese ink and Pigments on Mulberry Paper / 2018]

파편들은 (fragments) 전체에서 동떨어져 나온 조각이다. 자아를 삶의 다른 요소들과 연결시켜 보지못하면, 그리고 한 인간을, 그것이 무엇이건 간, 다른 대상과 묶어주는 사랑이 없다면, 인간은 소외되고 생명이 없는 파편적 조각으로 머문다. 사랑은 하나의 조각인 인간을 유기적 전체 (the organic whole)로 환원시키는 원리이다. 아픔을 견디어 어둠을 뚫고 빛을 볼 수 있게 하는 것도 우리에게 사랑이 있기 때문이다. 추상적이고 초월적인 원리로서의 사랑도 우리는 어떤 특정한 대상에 대한 사랑을 통해 경험하게 된다.

개체들은 사랑으로 연결하고, 그 안에서 자유로워질 수 있는 공간을 만드는 것이 내 작업을 의미있게 만드는 것이라 생각한다.

2018년 8월 빈에서 김 성 민

When parts are broken and separated from the whole, we call them fragments. In order for these fragments to be endowed with life, they must seek to connect with the whole. If an individual self is neither seen in bond with the organic whole nor in relation to other elements of life, it remains as an isolated, lifeless fragment.

Love ties us as fragments to the broader parts of life. Through love we are not isolated, even gaining life and freedom, because love possesses the ability to connect us to the broader world. One may even say, love is the indispensable principle that redeems a fragmentary self to organic life. Love makes us endure torments and see the light piercing through the darkness. Even love as an abstract transcendental principle is experienced in us through our love for particular objects.

Ultimately, I believe my works are meaningful when individual objects, including me, the artist, are interconnected through love to create a space where we feel further freedom.

August 2018 Sung Min Kim

view1_1000.jpg

[김성민 / 회화展 / 사랑 Love / 갤러리 민님 / 2018]

bottom of page